- 허공에 매달려보다
곶감 먹다가 허공을 생각한다
우리 일생의 한 자락도
이렇게 달콤한 육질로 남을 수 있을까
얼었다 풀리는 시간만큼 몸은 달고
기다려온 만큼 빛깔 이리 고운 것인가
맨몸으로 빈 가지에 낭창거리더니,
단단하고 떫은 시간의 비탈 벗어나
누군가의 손길에 이끌려
또다시 허공에 몸을 다는 시간
너를 향한 나의 기다림도
이와 같이 익어갈 수 없는 것일까
내가 너에게 건네는 말들도
이처럼 고운 빛깔일 수 없는 것일까
곶감 먹다가 허공을 바라본다
공중에 나를 매달아 본다
보이지 않는 힘으로 감싸는 빈 손
내 몸 말랑말랑 달콤해진다
- 서해 낙조
그대 그리운 날은 서해로 간다
오가는 길과 길 사이로
초록빛 그리움 안고 달리면
내 안으로 나무 하나 깊이 들어선다
계절마다 하늘 바꿔 이는 저 느티나무도
한 생을 이렇듯 푸르게 드리우지 않는가
참매미 쓰르라미 숨찬 울음소리에
산과 강 뜨겁게 열리고
불볕 속에서도 길은 서해로 달린다
십리포, 만리포에 이르러
제 가슴 한쪽을 여는 바다
짙은 쪽빛 껴안고 섬 하나 키운다
파도는 몇 번의 물때를 바꾸며
생의 바튼 숨길 씻어 내린다
파도소리에 귀먹은 모감주나무
수천 번 푸르름 길어 올리고서야
제 가슴에 능소화 몇 송이 붉게,
붉게 꽃잎 틔운다
서해, 하루는 붉게 달아올라
큰 바다 비로소 받아 안는 해의 몸
길에서 바다로, 다시 파도 속으로
너에게로 오롯이 이어져
가슴속에 등불 하나 살아 오른다
- 산길
뻐꾹새 소리 따라 걷는다
산속 들어도
뻐꾹새 보이지 않고
소리만 환하게 산을 울린다
뻐꾹새는 나무 위에서 우는 게 아니다
내 속에서 울고 있다
숲으로 한참 걸었는데도
소리만 울창하다
뻐꾹새 어디에 있는 걸까
산속 깊이 들어갈수록
소리만 더욱 울울창창하다
소리는 다만
산으로 나를 끌어당길 뿐,
뻐꾹새 좀체 보이지 않는다
- 기억 속의 길
네가 스쳐간 곳에는 상처가 남는다
이렇게 겉으로 차오른 푸른 멍
그 안에 짙은 물빛 일렁이는 바다
누구도 피할 수 없는
바위보다 단단한 침묵,
북극 나침반보다도 단호한
숨의 멈춤.
네가 스쳐간 풀잎 끝에는 향기가 흐른다
아직 채 이슬 걷히기 전
들녘의 가느다란 길 다라
그대 깨우고 간 새벽
들길은 더 넓게 트이고
바람 스쳐간 풀잎 끝에
아리고 저린 기억.
- 시작시인선 0087 [허공이 키우는 나무]
햇살 속 걷다가
큰 나무 그늘에 들었다
나무는 나를 품고 생기가 돈다
그대가 드리운 사랑의 심연
출렁이는 파도 속에
하늘 걸려 있다
숲은 적요하다
그늘 속 가지를 뻗고
이파리 묻으며 자란다
작은 풀잎까지
가까이 불러 그늘을 키운다
그늘이 내 몸속에 들어온다
내가 그늘 속에 뒤섞인다
나무는 햇살과 그늘을 두고
허공을 끌어안는다
비로소 서늘한 길이 열린다.
-김완하 시 '내 몸에 그늘이 들다'모두
* 시 정신 이란 생명 있는 대상은 물론이거니와, 무생물에도 생명 이상의 가치와 정감을 지니고 대하는 자세이다. 모든 사물을 생명과 사랑으로 관계 맺으려는 마음을 말한다. 이러한 시정신을 가지고 살아갈 때 우리 사회는 무관심, 무관용, 자기애착 에서 벗어나 ‘나’와 ‘너’가 존재하는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.
시인은 시를 쓰는 사람을 말 한다. 하지만 현대처럼 시가 빠르게 소비되는 시대에는 ‘공감’과 어떤 유 무형의 ‘어울림’이 더욱 필요하다. 세상엔 ‘멋 있는 시’도 ‘맛 있는 시’도 필요하다.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의 생활에서 ‘공감’을 얻지 못하면 소멸되곤 한다. ‘시 정신’이란 단어가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재 강조 되는 이유이다.
'시와 사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‘애착’ 시선/ 김 혜순 시. (1) | 2023.06.14 |
---|---|
일상의 투명한 시선 / 이 자켓 시인. (0) | 2023.06.04 |
*공양 한끼 !?… ‘Blance’ (1) | 2023.05.11 |
다시 읽는,, 강은교 시인. (0) | 2023.04.05 |
추억의 기기 /휴대용 소니 CD 플레이어 디지털 튜너 AM/FM 라디오 메가베이스 (0) | 2023.04.04 |